본문 바로가기
경매경제내용

임차권등기 와 배당요구신청서

by hyun6874 2025. 3. 25.
반응형

임차권 등기와 배당요구신청서, 뭐가 다른 걸까?

부동산 경매를 하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용어 중에 ‘임차권 등기’랑 ‘배당요구신청서’가 있어요. 두 개 다 세입자의 권리를 지켜주는 장치인데, 이걸 헷갈려서 잘못 대응하면 보증금 한 푼도 못 받을 수도 있어요. 그래서 오늘은 이 둘의 차이를 딱! 정리해줄게요.


1. 임차권 등기란?

임차권 등기는 세입자가 보증금을 못 받은 상태에서 집을 먼저 나가야 할 때, 내 권리를 지키기 위해 등기부에 표시하는 절차예요.

예를 들어, 계약이 끝났는데 집주인이 보증금을 안 돌려줘. 근데 나는 이사 날짜가 다가오고 있어서 나가야 해. 이럴 때 그냥 이사 가버리면 대항력도 사라지고 우선변제권도 잃을 수 있어요. 그래서 집을 나가기 전에 ‘임차권 등기’를 해두면, 대항력은 사라지지만 우선변제권은 살아있어요.

즉, 이사 후에도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존하는 장치라고 보면 돼요.

✅ 요약:

  • 이사 전에 신청
  • 대항력은 없어지지만 우선변제권은 유지
  • 나중에 경매되면 보증금 일부라도 돌려받을 수 있음

2. 배당요구신청서란?

배당요구신청서는 집이 경매에 넘어갔을 때, “나 돈 받을 사람이에요!”라고 법원에 알려주는 공식 절차예요.

집주인 사정이 안 좋아져서 집이 경매에 넘어가면, 세입자도 거기서 보증금을 배당받을 수 있어요. 그런데 이걸 법원에 신청 안 하면? 내 권리가 있어도 배당을 못 받아요. 진짜예요. 배당요구신청은 경매 개시 공고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꼭 해야 하고, 이걸 놓치면 그냥 일반 채권자랑 똑같은 순위로 밀려버려요.

✅ 요약:

  • 경매 개시된 후 신청
  • 2개월 내 신청 안 하면 배당에서 제외
  • 법원에 제출해야 함

📝 임차권 등기 vs 배당요구신청서

구분임차권 등기배당요구신청서
언제? 이사 전, 보증금 못 받은 상황 경매 진행 중, 배당 받으려면 필요
어디에? 등기소 법원
목적 이사 후에도 권리 보존 배당 참여를 위한 의사 표시
기한 별도 기한 없음 공고일로부터 2개월 이내
안 하면? 우선변제권 못 챙김 아예 배당 못 받음

✅ 경매 베테랑의 팁

✔️ 보증금 못 받았는데 이사부터 해야 해?
👉 임차권 등기 꼭 하고 나가기!

✔️ 집이 경매에 넘어갔다고?
👉 배당요구신청서 2개월 내 꼭 제출!

이 두 가지는 세입자 권리 지키는 핵심이에요. 실제 경매 물건 조사할 때도, 임차인이 배당요구 했는지, 임차권 등기 돼 있는지 확인하면 권리분석이 더 쉬워져요. 글 읽은 김에 등기부등본 한 번 들여다보는 연습해보세요 :)


https://naver.me/x9BYtQx4

 

투자금별 맞춤경매 :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

경매, 어렵게만 느껴지시나요? 실제 낙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생생한 사례 분석과 투자 전략으로 경매를 쉽고 확실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. 🔹 낙찰 사례 분석 – 직접 경험한 낙찰 물건의 수익

contents.premium.naver.com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