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손해를 인정할 수 있는 용기, 언제 손절해야 할까?]
솔직히 말해서,
우리가 가장 못하는 게 **‘손해를 인정하는 것’**이야.
마음속 깊이선 이미 알고 있지.
“이 물건, 잘못 들어왔구나…”
“이 타이밍에 팔아야겠구나…”
근데도 머릿속에 떠오르는 한마디.
👉 “조금만 더 버텨보자.”
💣 손해를 인정하지 못하는 이유는?
1. 내 선택이 틀렸다고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
“그때는 최선의 판단이었어!”
“분석도 다 했고, 문제없었는데…”
이런 말로 스스로를 위로하며, 현실을 외면하지.
2. 복구 심리, '본전 생각'
마이너스 상태에선 다시 수익구간으로 올라가길 바래.
근데 그 바람이 현실 판단을 흐려.
3. 타인 시선에 대한 두려움
“그거 너가 낙찰받았다며? 아직도 들고 있어?”
이런 말 들을까봐, 그냥 버티는 거야.
하지만 이건 투자자가 아닌 감정 소비자의 태도야.
🎯 그럼 언제 손절하는 게 맞을까?
✅ 1. 수익률 구조가 무너졌을 때
처음 예상한 수익률에서 임대료 하락, 리모델링 과다, 명도 지연 등으로
계산이 안 맞는 순간 → 빨리 ‘정리 전략’ 고민해야 해.
✅ 2. 시장 흐름이 바뀌었을 때
“요즘 이 동네 전세 잘 안 나가요.”
“매매가가 6개월째 하락 중이에요.”
단순한 일시적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으로 수요가 꺾인 흐름이라면
너무 오래 잡고 있으면 회복이 더디고, 심지어 더 빠질 수도 있어.
✅ 3. 내 멘탈이 흔들릴 때
하루종일 이 물건 걱정만 하고, 잠도 못 자고,
투자의 다른 판단까지 영향을 줄 정도라면
그건 이미 심리적 손실이 금전적 손실을 넘은 상태야.
그럴 땐 정리하는 게 나를 위한 길이야.
✨ 손절은 패배가 아니라, 전략이야
손해를 본다는 건 누구나 겪는 일이야.
근데 그걸 어떻게 받아들이고, 얼마나 빨리 회복하느냐
여기서 실력 차이가 나는 거지.
그리고 중요한 건,
❗ 손절 후 반드시 복기해야 해.
"왜 이런 선택을 했고, 다음엔 어떻게 다르게 대응할 것인지."
이게 다음 수익의 기반이 돼.
마무리 코멘트
내가 손해를 인정할 수 있다는 건,
다음 기회가 올 거라는 걸 믿는다는 뜻이야.
그리고 그 믿음이야말로,
진짜 투자자의 심리 근육이야.
다음 편 예고
👉 3편. 수익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는 연습, 투자자는 왜 ‘기회’만 보면 안 될까?
투자금별 맞춤경매 :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
경매, 어렵게만 느껴지시나요? 실제 낙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생생한 사례 분석과 투자 전략으로 경매를 쉽고 확실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. 🔹 낙찰 사례 분석 – 직접 경험한 낙찰 물건의 수익
contents.premium.naver.com
'경매경제내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😔 실전투자자를 위한 심리 코칭 4편 (0) | 2025.04.15 |
---|---|
💡 실전투자자를 위한 심리 코칭 3편 (0) | 2025.04.15 |
💡 실전투자자를 위한 심리 코칭 1편 (0) | 2025.04.14 |
우선변제권과 최우선변제권, 경매 전에 꼭 짚고 가야 할 포인트! (1) | 2025.04.13 |
경매 입찰가 산정법 (0) | 2025.04.11 |